프로그램이야기 18

Mbps는 풀이하자면....

Mbps 메가바이트 (Megabite) 퍼 (Per) 세컨드 (Second)냐구요? 아, 딱보니 이거네! 라고요? 아닙니다. 메가비트 (Megabit) 퍼 (Per) 세컨드 (Second)입니다. 그러니까 위의 것은 MB/s를 의미하는 것이고 아래것이 진정한 Mbps, 즉 1초당 1메가비트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메가비트가 뭘까요? 여기서 우리는 용량의 단위를 알아야 합니다. (슬슬 복잡해질테니 골아픈 분들은 스크롤 내리시면 됩니다) 1Byte=8Bit 1KB=1024Byte 1MB=1024KB 1GB=1024MB 1TB=1024GB 1PB=1024TB 뭐, 이정도만 알아두셔도 됩니다. 실생활에서는 이정도밖에 안나오니까요. KB=KilloByte. Killo는 접두사입니다. 10의 3승이란 뜻이죠. 마찬가..

Foobar2000 스킨 Tech 설치 방법

Foobar2000의 대표적인 스킨 Tech의 최신 버전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Teck v1.4 skin의 전체적인 모습은 위 그림과 같습니다. ※ 먼저 푸바의 최신 버전(Foobar2000 v1.1.9)을 설치하시고 시작하세요. 1. 아래의 링크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Requirements: - Fonts: [link] - Components: [link] - Configuration files: [link] - Images + .fcl file : [link] - seekbar.fx file for Wave Seekbar : [link] tech_fonts.zip tech_configuration.zip tech_components.zip seekbar.zip tech.zip 2. 다운 받..

윈도우 기본 메모장을 대체할 아주 괜춘한 NotePad2!!

윈도우의 기본 메모장은 많이 보셨을거다. 그런데 말그대로 정말 기본만 제공해서 어쩔땐 불편하기도 하다. 코딩을 하거나 레지스트리를 만지거나 컴파일을 하거나 스크립트를 짤때 말이다. 이럴때 바로 NotePAD2 를 사용하자. 여러 스키마를 제공하고 각 구문이나 명령어별로 칼라스킨이 들어가서 가독성이 매우 뛰어나고, 또 훌륭하신 몇분이 한글화까지 친절하게 해주셨다. 다운받아 사용하자... 아참 압축파일내 레지스트리는 편집해서 사용하자. 자기 NotePAD2 가 있는 폴더를 지정해서 편집한 뒤 병합하길... 출처 - http://zoc.kr/출처 변경 - http://teus.me/

배워서 남주는 멋진 곳 - TED

최고의 명강의를 20분 이내에 들을 수 있는 곳이 있어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TechnologyEntertainmentDesighn  가 그곳입니다. 빌 클린턴, 앨 고어, 스티븐 호킹,  알랭 드 보통 등 세계적인 석학들이 20분의 시간동안 강의를 합니다. 모든 강의는 무료이구요, 자원봉사자들이 번역한 한글 자막도 있어서 쉽게 강의를 들을 수 있습니다.TED는 비영리단체로 Ideas Worth Spreading - 널리 퍼지면 퍼질수록 가치있는 지식을 전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요.또 Technology, Entertainment, Design의 약자를 딴 것으로 알 수 있듯, 각종 최신 기술과 재미있는 이야기, 디자인 등 예술에 관한 강의를 중심으로 정기적으로 강연회를 하고 있습니다. 저..

[foobar] foobar2000을 이용한 WASAPI, ASIO 출력

여기에선 foobar2000으로 WASAPI, ASIO 출력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둘 다 단독모드 출력인 만큼 재생시에 다른 모든 오디오출력은 허용되지 않는다. WASAPI 출력을 위해선 아래와 같이 스피커 속성에서 단독 모드 사용이 허용되어 있어야한다. 다음은 WASAPI와 ASIO출력에 대해 foobar 홈페이지에 게시된 내용이다. 관련 링크를 통해 두 컴포넌트를 받아 foobar가 설치된 폴더의 components 폴더에 다음과 같이 압축을 풀어서 복사한다. 그 다음 foobar를 실행하고 Preferences에 들어가면 WASAPI 출력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utput data format 은 스피커 속성에서 설정한 bit와 같게 놓는다. ( 왠만하면 32 bit 보다 아래로 잡도록 ..

MDI(Microsoft Document Imaging)파일 여는 방법

별도의 프로그램이 있기도 한데 오피스 (저는 2007 버전) 설치 사용자들에게 가능한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시작 >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삭제 (비스타는 프로그램 및 기능) 에서 Office 버전을 선택 후 변경을 클릭합니다. 2. Office 도구 메뉴를 펼칩니다. 3. 스캐닝, OCR 및 인덱싱 서비스 필터 > 내 컴퓨터에서 실행 > 계속 클릭 4. MDI 파일을 더블클릭합니다. * 설치 후 파일 위치에 대해서 알아보자. 비스타, Microsoft Office 2007 Enterprise 환경에서 C:\Program Files\Common Files\microsoft shared\MODI\12.0\MSPVIEW.EXE 에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보 획득 과정은 1차 구글링..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