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네임서버에 쿼리를 날려야 할 때, 윈도우에서는 nslookup을 쓰지만, 리눅스에서는 dig를 사용한다.dig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dig [@nameserverIP] Domain [type] 예시) 세 인자 중 가장 앞에 인자 [@nameserverIP]는 네임서버의 IP이다.해당 인자를 생략하면 /etc/resolv.conf 파일에 명시된 네임서버 리스트로 쿼리를 날린다. 두번째 인자 Domain에는 질의를 날릴 도메인을 입력한다. 세번째 인자 type에는 출력 타입을 입력한다.해당 인자를 생략하면 기본값으로 A레코드를 출력한다.출력 타입은 ANY, A, MX, TXT 등등 네임 서버에 입력 가능한 타입은 모두 출력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