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Centos를 설치 후 나의 서버는 지금 GNOME이 올라와 화려한 그래픽을
뽐내고 있을것이다.
하지만 나에게 있는 putty로는 까만 바탕과 흰 글자만 보일뿐....
이때 필요한게 뭐? 바로 vnc
vnc를 통해 우리는 원격으로 GUI환경을 맘껏 누릴 수 있다.
CentOS 5.4에서는 기본적으로 vncserver가 깔려있다.
( 내 서버 운영체제의 버전을 알고 싶다면 # cat /etc/issue 를 입력해보면 안다.)
# whereis vncserver
이렇게 해보면 /usr/bin/vncserver 가 있다. 없다면 설치가 안되어있는것이다.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만능설치프로그램 yum 을 사용하자.
# yum -y install vncserver
설치가 끝나면 vncserver를 설정해보자.
# vi /etc/sysconfig/vncservers (마지막에 S가 들어간다.)
이걸 열고
VNCSERVERS="1:root"
VNCSERVERARGS[1]="-geometry 1024x768 "
이렇게 설정했다.
VNCSERVERS="1:root" 에서 1대신 0을 쓰면 startx에서 구동한 xwindow와 화면을 공유하기때문에
끊기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래서 0을 제외한 다른 번호를 사용한다. 0으로 한다면 모니터에서 먼저 로그인
한 누군가와 모니터를 같이 쓰겠지 ㅋㅋ
해상도도 800x600을 할 수도 있다.(x는 알파벳 x이다.)
하지만 난 1024x768을 쓴다.
편집이 끝나면 vncserver접속시 필요한 패스워드를 설정해보자.
# vncpasswd
Password:
Verify:
패스워드를 설정할때는 항상 두 번을 입력해야 한다.
비밀번호 설정 후 그 다음 구동시켜보자. 어떻게???
# service vncserver start
위에서 적은대로 했다면 [OK] 라는 메세지를 볼 수 있을거다.
거기서 더 눈을 크게 떠서 보면 이런 메세지도 볼 수 있다.
Creating default startup script /root/.vnc/xstartup
맞다.
(중요!)
vncserver를 start시켜줘야 해당 계정의 script가 생성이 된다.
그런데 vncserver를 시작도 안하고 저 xstartup이라는 스크립트를 수정할라고 암만 찍어봐도 안나온다.
이건 원격지에서 client로 딱 한번 접속해주면 바로 해결된다.
--혹시 안뜨면 패스--
원격컴퓨터에서 client로 접속해보자.
나는 ultra vnc를 사용한다. 무료이기 때문이다.
그게 다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괜히 복잡하면 머리만 더 아프니까.
(여기서 다운 받는다 : http://www.uvnc.com/download/index.html )
설치후 viewer를 실행한다. (설치할때 viewer만 설치하면 된다. 필요에 따라 server도 설치하든지)
자 여기에서 다른거 건딜거 없다. 사실 뭔지도 모른다.
다만 vncserver 라고 나온 부분만 신경쓰면 된다. 자기 원격서버의 주소를 넣고 마지막엔 :을 하나 넣은 후
# vi /etc/sysconfig/vncservers에서 설정한 화면 번호를 넣으면 된다. (나는 1로 셋팅했기에 1을 넣음)
서버아이피 or 주소:1
그담엔 connect 버튼을 누르면 패스워드를 넣는 창이 뜬다.
앞에서 vncpasswd 로 설정한 패스워드를 넣어주면 된다.
음훼훼훼... 뜬다... 헉 근데 좀 이상하다....
이쁘지가 않다. 아무리 업무용이고 뭐라해도 이뻐야 일 할 맛이 나지.
vnc viewer를 종료한다.
다시 콘솔로 붙어서 앞서 생성된 스크립트를 수정한다.
# vi /root/.vnc/xstartup
맨 마지막줄에 twm & 이라고 된 곳을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 twm &
gnome-session &
그리고 저장후 빠져나온다. (esc누르고 :wq)
그 다음 vncserver를 재시작한다.
# service vncserver restart
[OK]가 두번 뜨는거 보니까 왠지 잘 되는거 같다.
다시 vnc viewer로 접속해본다.
와우~ 아까와는 많이 다르다.
무척 다르다.
마지막으로 서버가 재부팅시 자동으로 vncserver가 시작되도록 하자.
# chkconfig vncserver on (리부팅시에 자동실행)
CentOS 5.4 (final) 에서 vncserver 설정 완료.
-원본 : http://zicman.egloos.com/2745487 -
뽐내고 있을것이다.
하지만 나에게 있는 putty로는 까만 바탕과 흰 글자만 보일뿐....
이때 필요한게 뭐? 바로 vnc
vnc를 통해 우리는 원격으로 GUI환경을 맘껏 누릴 수 있다.
CentOS 5.4에서는 기본적으로 vncserver가 깔려있다.
( 내 서버 운영체제의 버전을 알고 싶다면 # cat /etc/issue 를 입력해보면 안다.)
# whereis vncserver
이렇게 해보면 /usr/bin/vncserver 가 있다. 없다면 설치가 안되어있는것이다.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만능설치프로그램 yum 을 사용하자.
# yum -y install vncserver
설치가 끝나면 vncserver를 설정해보자.
# vi /etc/sysconfig/vncservers (마지막에 S가 들어간다.)
이걸 열고
VNCSERVERS="1:root"
VNCSERVERARGS[1]="-geometry 1024x768 "
이렇게 설정했다.
VNCSERVERS="1:root" 에서 1대신 0을 쓰면 startx에서 구동한 xwindow와 화면을 공유하기때문에
끊기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래서 0을 제외한 다른 번호를 사용한다. 0으로 한다면 모니터에서 먼저 로그인
한 누군가와 모니터를 같이 쓰겠지 ㅋㅋ
해상도도 800x600을 할 수도 있다.(x는 알파벳 x이다.)
하지만 난 1024x768을 쓴다.
편집이 끝나면 vncserver접속시 필요한 패스워드를 설정해보자.
# vncpasswd
Password:
Verify:
패스워드를 설정할때는 항상 두 번을 입력해야 한다.
비밀번호 설정 후 그 다음 구동시켜보자. 어떻게???
# service vncserver start
위에서 적은대로 했다면 [OK] 라는 메세지를 볼 수 있을거다.
거기서 더 눈을 크게 떠서 보면 이런 메세지도 볼 수 있다.
Creating default startup script /root/.vnc/xstartup
맞다.
(중요!)
vncserver를 start시켜줘야 해당 계정의 script가 생성이 된다.
그런데 vncserver를 시작도 안하고 저 xstartup이라는 스크립트를 수정할라고 암만 찍어봐도 안나온다.
이건 원격지에서 client로 딱 한번 접속해주면 바로 해결된다.
--혹시 안뜨면 패스--
원격컴퓨터에서 client로 접속해보자.
나는 ultra vnc를 사용한다. 무료이기 때문이다.
그게 다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괜히 복잡하면 머리만 더 아프니까.
(여기서 다운 받는다 : http://www.uvnc.com/download/index.html )
설치후 viewer를 실행한다. (설치할때 viewer만 설치하면 된다. 필요에 따라 server도 설치하든지)
자 여기에서 다른거 건딜거 없다. 사실 뭔지도 모른다.
다만 vncserver 라고 나온 부분만 신경쓰면 된다. 자기 원격서버의 주소를 넣고 마지막엔 :을 하나 넣은 후
# vi /etc/sysconfig/vncservers에서 설정한 화면 번호를 넣으면 된다. (나는 1로 셋팅했기에 1을 넣음)
서버아이피 or 주소:1
그담엔 connect 버튼을 누르면 패스워드를 넣는 창이 뜬다.
앞에서 vncpasswd 로 설정한 패스워드를 넣어주면 된다.
음훼훼훼... 뜬다... 헉 근데 좀 이상하다....
이쁘지가 않다. 아무리 업무용이고 뭐라해도 이뻐야 일 할 맛이 나지.
vnc viewer를 종료한다.
다시 콘솔로 붙어서 앞서 생성된 스크립트를 수정한다.
# vi /root/.vnc/xstartup
맨 마지막줄에 twm & 이라고 된 곳을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 twm &
gnome-session &
그리고 저장후 빠져나온다. (esc누르고 :wq)
그 다음 vncserver를 재시작한다.
# service vncserver restart
[OK]가 두번 뜨는거 보니까 왠지 잘 되는거 같다.
다시 vnc viewer로 접속해본다.
와우~ 아까와는 많이 다르다.
무척 다르다.
마지막으로 서버가 재부팅시 자동으로 vncserver가 시작되도록 하자.
# chkconfig vncserver on (리부팅시에 자동실행)
CentOS 5.4 (final) 에서 vncserver 설정 완료.
-원본 : http://zicman.egloos.com/2745487 -
'Linux > 설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MyAdmin 설치 (0) | 2012.02.07 |
---|---|
APM의 yum 설치 방법 (0) | 2012.02.07 |
JAVA SDK 7 RPM 설치 (0) | 2012.02.03 |
Tomcat 7 설치 (0) | 2012.02.03 |
Tomcat 6 설치 (0) | 2012.02.03 |